강원대학교 홈페이지

게시판

자료실

[심리건강 지킴이 두리다리] ‘쉽게 그리고 확실히 행복해지기’
  • 작성자
  • 작성일자
  • 조회184

안녕하세요! 심리건강 지킴이 두리다리입니다!


요즘 다들 어떤 하루를 보내시고 계시나요?  

   여러분은 ‘소확행’ 을 아시나요?  소확행이란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라는 말입니다. 이처럼 사람들은 행복을 중요시 생각하고 행복해지고 싶어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확실한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요 ? 

먼저 이에 대해 알기 전 한국인에 행복은 어떠한지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인은 누가 언제 행복한가?

 이 논문에 따르면 개인이 경험하는 전체 행복의 정도에서는 연령, 성별, 결혼여부, 종교유무, 학력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게 나타났습니다. 

그럼 어떤 사람이 행복했을까요?


하루에 행복감 변화

 직장인과 대학생은 오전과 오후에 느끼는 행복감이 매우 낮다가 평일 저녁과 주말이 되면 차츰 높아졌습니다. 

주부들은 평일과 주말 오후시간에 가장 높은 행복감을 보였고, 노인들은 시간의 흐름에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높은 행복감을 경험하고 있었습니다.


누구와 있을 때 행복한가?

 전체적으로 혼자 있을 때, 친구/동료와 함께 있을 때보다 가족들과 함께 있을 때 더 행복했다. 대학생(대학원생의) 경우 행복감은 혼자 있을 때< 친구, 선후배와 함께 있을 때< 가족과 함께 있을 때 순으로 행복감을 느꼈습니다.

무엇을 할 때 행복한가?

일/공부, 그리고 생활 유지 활동을 할 때보다 먹거나 대화할 때, 그리고 적극적 여가활동을 할 때 행복감이 더 높았습니다. 특히 직장인과 대학(원)생들은 일 또는 공부할 때 행복감이 낮았고, 먹기/대화하기와 적극적 여가를 할 때 행복감이 높았습니다.


활동 동기 및 의미와 행복감

 활동 동기 및 의미와 행복감을 비교했을 때 사람들은 내적동기와 의미감이 높은 활동을 할 때 행복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는 일상생활 속 행복 경험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활동의 내적 동기와 의미감이었습니다.

 즉, 내가 현재하는 일을 하고 싶은 정도와 하고 있는 일에 의미를 많이 느끼는 행복이 제일 행복했습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은 하루 중에 저녁이 행복하고 주말이 제일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혼자 있을 때보다 친구, 선 후배와 함께 있을 때, 그리고 가족과 함께 있을 때가 더 행복했습니다. 

또한 대학생은 먹기와 대화하기 적극적 여가를 할 때 더 행복해 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행복의 강도에서는 내적동기와 의미감이 높은 활동이 제일 강했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쉽게 그리고 확실히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내적동기와 의미감이 높은 활동이 행복에 강도가 제일 높았지만, 이것을 쉽게 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그럼 어떤 방법이 존재할까요?

그것은 바로 좋은 사람과 밥을 같이 먹는 것입니다. 연구 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혼자보단, 친구 가족과 같이 있을 때 행복감을 느꼈고,

 밥을 먹을 때 더 행복감을 느꼈습니다.

 그 이유는 먼저 사람은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게 되면 외롭고 고독함을 느낄 뿐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사회적 고립에 가장 큰 문제점은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회적 관계는 인간의 생존에 필수조건이리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행복감은 인생의 목적이라기보단 기본적인 생존과 양육을 하기 위해서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즐거운 것은 

음식을 먹는 즐거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행복의 축약은 좋은 사람과 밥을 같이 먹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쉽고 확실한 행복을 경험하는 방법으로는 좋은 사람과 밥 먹기를 하기를 추천합니다. 

또한 행복에는 강도도 중요하지만 빈도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이 경험을 자주 가지길 바랍니다. 



우리가 쓰고 있는 ‘소확행’이라는 말처럼 행복해지는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우리 모두 소중한 사람과 맛있는 밥을 먹고 먹으면서 즐거운 대화시간과 좋은 시간을 보냅시다!





출처:

구재선. & 서은국. (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43-166

youtube. (2021. 1. 15) 서은국 “행복은 관념이 아니라 경험이다. 행복의 기원 1부” [Video] https://youtu.be/L2vDsKMdjJg?feature=shared

youtube. (2021. 1. 15) 서은국 “행복은 관념이 아니라 경험이다. 행복의 기원 2부” [Video] https://youtu.be/Gt_XoEgcUyI?feature=shared

※ 추천 버튼 재클릭 시 추천이 취소됩니다.